본문바로가기

VIP Medical Cases

VIP 분야별 다양한 치료케이스를 지금 만나보세요.

VIP동물의료센터는
심도 있는 치료까지 책임집니다.

고양이 관절종양 / 연부조직육종, 후지절단술 치료


첫 번째 치료 사례


동물 이름 : 차차(가명)


나이 : 13살


성별 : 중성화된 암컷


품종 : 코리안 숏헤어


주요 증상 : 우측 팔꿈치 부음 및 미약한 통증, 우측 팔꿈치 부종 및 촉진 시 불편감 보이는 증상 호소. 간헐적 파행도 보인 상태였습니다.



■ 검사 방법 및 진단


* 방사선 촬영


양측 전지 방사선 상에서 양측 팔꿈치의 퇴행성 관절염 소견 확인되며, 좌측에 비해 우측 팔꿈치 주변 연부조직 음영의 증가로 전완 근위부 두꺼워진 것 확인되었습니다.


1.png


* 초음파 검사


해당 팔꿈치 주변 연부조직 초음파 검사 상 팔꿈치 내측 근육층 내에서 여러 개의 낭성 구조물 관찰되었으며, 종양성 변화 배제할 수 없어 CT 촬영 및 조직 검사를 계획하였습니다.


20250423_155016.png


* CT 촬영


CT 상 우측 주관절 주변 불규칙한 모양의 낭성 구조물이 다수 관찰되었으며, 근육 사이에 위치하는 양상으로 뚜렷한 조영증강은 관찰되지 않았습니다. 또한, 다행히 주변 림프절의 전이 소견은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20250423_155305.png


* 조직 검사


조직검사를 위한 수술적 접근 시 좌측 전완 근위부의 근육 사이 낭성 구조물 확인되었으며, 막을 채취하는 과정에서 관절액 처럼 점도 높은 액체가 뿜어져 나오는 양상이었습니다.


20250423_155441.png


검사결과 활액낭종(synovial cyst) 혹은 결절종(ganglion cyst)으로 진단되었습니다. 



명확한 발병 기전은 알려져 있지 않으나, 관절염이 있는 관절에서 높아진 관절내 압력에 의한 관절낭의 탈출로 생기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고양이의 여러 관절에서 발생할 수 있으나, 특히 관절강이 좁은 팔꿈치의 내측에서 호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일종의 양성 종양으로 고양이에서는 이로 인한 전이는 보고된 바 없으며, 파행이 동반된 경우 낭종에 의한 것이 아닌 관절염에 의한 것으로 여겨져 관절염의 관리가 필요합니다. 


낭종의 수술적인 제거 이후 대부분 재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과도하게 커져 불편감을 일으키지 않는다면 주기적인 모니터링이, 파행을 일으킨다면 일정량의 배액과 관절염 관리가 필요합니다.


20250423_163519.png


■ 치료 및 경과


차차의 경우 조직검사 과정에서 다량의 배액이 이루어졌으며, 파행이 개선되었다고 하여 주기적인 모니터링 및 관절염 관리 예정입니다. 



두 번째 치료 사례



동물 이름 : 두두(가명)


나이 : 9살


성별 : 중성화된 수컷


품종 : 스코티시 폴드


주요 증상 : 우측 발목 주변 다발성 종괴/ 우측 뒷발목 주변 낭성의 다발성 종괴가 확인되었습니다.


20250423_160012.png


■ 검사 및 진단 방법


* 방사선 촬영


양측 후지 방사선 상에서 우측 발목 주변 뚜렷한 연부조직 음영의 증가가 확인되며, 여러 개의 덩어리 형태로 고려됨. 양측 뒷발목의 심한 퇴행성 관절염 소견도 확인되었습니다.


20250423_160133.png


* 초음파 검사


해당 발목 주변 연부조직 초음파 검사 상 우측 뒷발목 관절 주변 다발성의 분방화된 낭성 구조물과 저에코의 덩어리도 확인되었습니다. 발목 전반에 걸쳐 구조물들이 확인되어 정확한 평가를 위해선 CT 촬영이 지시되었습니다.


20250423_160336.png


* CT 촬영


CT 상 우측 발목 관절 주변 전반적인 연부조직 음영의 종대 관찰되며, 분방화된 낭성 구조물과 조영 증강을 보이는 연부조직이 혼재되어 관찰되었습니다. 주변 림프절로의 영상학적 전이 소견은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20250423_160428.png


* 세포학적 검사


초진 내원 당시 흡인한 액체의 세포학적 검사에서는 점액낭종이 의심되었습니다.


20250423_160547.png


20250423_160606.png


* 수술적 접근


절제 생검(excisional biopsy)을 위한 수술적 접근은 외측/내측으로 나누어 진행하였습니다.


외측 접근 시 경결감 있는 덩어리 구조 및 점도 높은 액체를 가진 낭성 구조물이 혼재되어 혈관 및 신경 주변에 위치한 것이 확인되었습니다. 덩어리 구조의 경우 발목 관절에 단단히 부착되어 있었습니다.


내측 접근 시에도 점도 높은 액체를 가진 낭성 구조물 다수 확인되어 절제 하였으며, 힘줄 및 신경에 단단히 부착된 구조의 경우 일부 절제함.


20250423_161312.png


* 조직 검사


조직검사결과 연부조직 육종(soft tissue sarcoma)으로 진단되었습니다.


그림1.png

연부조직육종(Soft tissue sarcoma)


강아지/고양이에서 피부 및 피하 종양의 15% 수준을 차치하는 종양이며, 전이율은 낮으나 국소적으로 침습하여 자라는 특징이 있는 악성 종양입니다. 간엽세포 유래 종양으로 세포학적 검사 시 세포가 제대로 탈락되지 않기 때문에, 세포학적 검사는 염증이나 원형세포종양을 배제하는 정도의 의미가 있습니다. 두두(가명)에서도 흡인된 액체에서는 종양 세포가 관찰되지 않았습니다. 


침습적인 악성 종양이기 때문에 확실하게 제거하지 않을 시 재발이 흔하며, 통상적으로 종양으로부터 2~3 cm 떨어진 지점의 넓이로 정상 조직을 포함하여 제거하는 것이 추천됩니다. 종양의 불완전한 제거 시 재수술 혹은 추가적인 방사선 치료가 필요합니다.


60020250423_164315.png



옆구리나 허벅다리 등 주변 정상 조직이 충분한 위치에 해당 종양이 작게 생긴 경우 종양만 넓게 제거할 수 있으나, 사지 말단에 발생한 경우 불완전 절제 후 방사선 치료를 시도해보거나, 온전한 제거를 위한 사지 절단술이 필요합니다. 강아지/고양이에서 부분 사지 절단술은 다리의 남은 부분이 오히려 보행에 방해가 되거나 향후 욕창이 생길 수 있어, 일반적으로 전체 절단술이 지시됩니다.


두두(가명)의 경우 후지 절단술이 계획되었으며, 신경 국소마취를 거쳐 후지 절단술이 시행되었습니다.


60020250423_161413.png



■ 치료 및 경과


종양 전체적인 조직검사 의뢰 시 마찬가지로 연부조직육종으로 나왔으며, 혈관이나 림프조직의 침습은 조직학적으로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완전한 제거를 거쳤고 전이의 증거가 확인되지 않았으며, 추가적인 방사선 요법이나 항암 없이 모니터링 하고 있습니다.


20250423_161746.png



이렇게 육안적으로 비슷해 보이는 고양이의 관절 주변 낭성 구조물은 양성의 변화일 수도, 악성 종양이 동반된 것일 수도 있습니다. 


모든 종양이 그러하듯 영상적 평가와 세포학적 평가는 종양의 성질을 알기 위해 필요하며, 정확한 진단은 조직검사 없이는 이루어질 수 없습니다.


두 번째 환자 케이스에서 조직검사를 진행하지 않았다면, 첫 번째 케이스와 같은 양성 종양으로 치부하여 종양의 진단을 놓쳤을 수 있습니다.


본원에서는 종양이 의심되는 경우 원칙적인 평가 과정을 거쳐 해당 종양에 맞는 치료 방향을 제시해 드리고 있으니, 내원하셔서 검사를 받아보실 것을 추천드립니다.



VIP동물의료센터 동대문점 전지원 과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