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P동물의료센터는
심도 있는 치료까지 책임집니다.

비대성 심근증에 의해 발생한 혈전으로 인한 고양이 동맥 혈전증 치료
- 작성자
- 관리자
- 등록일
- 2025-07-09
- 조회수
- 17
비대성 심근증에 의해 발생한 혈전으로 인한 고양이 동맥 혈전증 치료
동물 이름 : 라떼(가명)
나이 : 8살
성별 : 중성화된 수컷
품종 : 고양이
종류 : 코리안 숏헤어
주요 증상 : 우측 앞다리 파행(너클링), 호흡곤란
■ 내원 당시 환자의 상태
8년령 중성화 수컷 라떼(가명)는 갑작스러운 호흡곤란, 침흘림, 우측 앞다리 너클링 증상으로 지역 병원에 내원했고, 흉부 방사선 검사상 폐수종이 확인되어 안정화후, 원인 감별을 위한 상위 검사를 하기 위해 본원으로 내원하였습니다.
* 신체검사
라떼의 우측 앞다리 발바닥 패드 말단에서 냉감이 확인되었고, 입원 치료중 점점 청색으로 변했습니다.
Lactate (젖산 수치) 검사상 우측 앞다리 말단에서 채혈한 혈액으로 검사했을 때, 측정불가 (High)로 높게 측정되었습니다
* 입원 2일차 좌측에 비해 청색을 띠는 우측 앞 발바닥 패드
*입원 3일차 좌측에 비해 청색을 띠는 우측 앞 발바닥 패드
* 혈액검사
허혈성 근육 괴사에 의한 ALT, AST 상승, CK 상승이 확인되었습니다. ▼
* 영상검사
영상검사에서는 복강내 대동맥 분지부에서는 혈전이 관찰되지 않았지만, 우측 쇄골하 동맥의 분지부로 추정되는 우측 앞다리로 가는 동맥 내에서 혈전 의심 음영이 확인되었습니다. ▼
* 우측 쇄골하 동맥 혈전
* 심장 초음파
또한, 심장 초음파 검사상 좌심실 벽의 두께가 불규칙하게 비후되어 있으며 약 7.5 mm 이상으로 측정되는 영역들이 관찰되었고, 좌심방 크기가 경/중등도로 확장되어 있었습니다. 그러므로 비대성 심근증(Hypertrophic Cardiomyopathy, HCM)에 의한 혈전증 가능성이 우선 고려되었습니다.
■ 의료진 소견
기저질환인 비대성 심근증에 의해 발생한 혈전이 우측 쇄골하 동맥을 막아 발생한 혈전증으로 진단되었습니다.
혈전증의 임상증상은 폐색의 위치와 정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가장 흔한 임상증상은 갑작스러운 파행 또는 마비이며 대부분 중등도의 통증을 동반합니다.
통증은 수시간 동안 지속될 수 있으며, 신경 허혈이 진행되면 통증이 줄어들고, 일반적으로 24~48 시간이 경과되면 신경이 완전히 허혈되면서 통증이 줄어듧니다. 단, 재관류(reperfusion) 또는 불완전한 폐색에 의해 통증이 지속되거나 재발할 수 있습니다.
치료에 성공하더라도 개선되는 과정에서 재관류에 의해 통증이 따르며(reperfusion injury), 이로인한 고칼륨혈증에 의해 사망할 수 있습니다.
치료중 피부 및 근육이 괴사되는 경우, 다리를 절단해야할 수 있으며 뇌혈관, 폐혈관, 복강내 장기 등에서 다발성 혈전증이 발생하면서 급사할 수 있습니다.
고양이 동맥 혈전증의 예후는 불량합니다. 극심한 통증과 장기적인 치료, 재발 가능성 때문에 안락사를 고려하는 질환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퇴원해서 통원치료 가능할 정도로 회복되기만 한다면, 기저질환인 심장병과 혈전증에 대한 약물을 꾸준히 복용하면서 장기간 생존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 혈전증에 대한 치료 방법
1. 혈전용해제, 혈전 예방 약물 투여
혈전을 용해하고 더 이상의 혈전 생성을 예방하기 위한 약물을 투여합니다.
2. 전신 순환을 촉진시키기 위한 수액 투여
3. 통증 완화를 위한 진통제 투여
진통 패치 또는 진통 주사제를 사용할 수 있고 통증 완화 목적 뿐만 아니라, 스트레스로 인한 심부전, 폐수종 악화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4. 기저 심장 질환 치료
심장 초음파 검사 결과에 따라 비대성 심근증에 대한 심장약을 복용하기 시작합니다.
5. 예후 평가 및 모니터링
저체온증, 항문 괄약근 기능 저하, tail tone 소실 등의 증상이 보이면 혈전증의 정도가 심각함을 의미하며 예후가 불량합니다.
순환이 개선되기 시작하면서 발바닥 패드의 색깔과 온도가 회복되는지 지속 관찰해야합니다.
혈액이 다시 순환하면서 발생하는 재관류 손상(reperfusion injury)은 통증이 따르며 고칼륨혈증의 위험이 있습니다.
■ 치료경과
*25. 01. 29
*25. 02. 13
*25. 03. 07
*25. 03. 10
*25. 04. 11
*25. 05. 16
*치료 1개월차 영상 검사
치료 1개월차 심장 초음파 검사상 좌심방 확장 정도가 감소했고, 기저질환인 비대성 심근증 관리를 위해 꾸준히 심장약을 투약하시기를 권고드렸습니다.
*심장 초음파
*치료 10일차 영상 검사
치료 10일차 초음파 검사상, 우측 쇄골하동맥에서 이전에 관찰되던 혈전 음영이 소실되었습니다. ▼
*우측 쇄골하 동맥
고양이 동맥 혈전증 (Feline Aortic Thromboembolism, FATE)은 급성으로 갑작스럽게 발생하며, 기저질환인 심장 질환과 함께 진단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미 심장 질환을 진단 받은 환자에서는 혈전 예방약을 미리 복약하면서 혈전증 발생 위험을 낮출 수 있습니다.
주기적인 심장 검진을 통해 무증상 단계일 때 심장 질환의 조기 진단을 추천드립니다.
VIP동물의료센터 청담점 강동희 과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