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논문 [학술지]심한 치주염 환자에서 수술적 치근 활택술(open root planing), 플라즈마 치료 및 엠도게인의 적용 증례
심한 치주염 환자에서수술적 치근활택술(open root planing),플라즈마 치료 및 엠도게인의 적용 증례VIP동물의료센터이성혁 과장차지수 과장김종인 원장서론2살이 넘은 개의 80% 정도가 치주염에 이환되어 있을 정도로 치주염은 개에서 매우 흔하게 발생하는 치과 질환이다. 특히 우리나라에 많은 소형견은 대형견보다 치주염이 더 호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치주염을 정확하게 진단하기 위해서는 치아 방사선뿐만 아니라 치주 고랑을 평가하기 위한 치아 탐침 과정도 중요하다. 개의 정상 치주고랑 깊이는 견종마다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2~4mm정도 된다. 치아 탐침 과정에서 이보다 깊다면 해당 치아는 치주염이 진행된 치아로 판단된다. (2) 치주 고랑의 깊이가 6mm가 넘어가면 치주 고랑을 직접 보면서 염증 물질 및 치석, 플라그를 제거하는 수술적 치근활택술(open root planing)이 지시되며 이를 통해 건강한 치주조직을 회복하고 기능적 부착 정도를 회복할 수 있다. (2)감염된 조직의 멸균은 효과적으로 질환을 관리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플라즈마 치료는 열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효과적으로 멸균이 가능하여 최근 개발된 치료법이다. 열을 발생시키지 않는다는 장점 덕분에 플라즈마 치료는 다양한 치과 질환에 적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3)심한 치주염에서 소실된 치조골을 회복시키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는 조직유도재생술(Guided Tissue Regeneration, GTR)이 있다. 하지만 조직유도재생술을 적용할 수 있는 부위는 제한되어 모든 치아에 적용하기 힘들다는 한계가 있다. (2) [그림 1] EMD 연고(Emdogain, BIORA AB)법랑기질단백질(Enamel Matrix Protein, EMD)은 여러 단백질로 조합되어 치조골의 재생 뿐 아니라 백악질 및 치주 인대의 재성장을 촉진하는 단백질이다. 법랑기질단백질을 주 성분으로 하는 흡수성 재료(Emdogain, BIORA AB)는 조직유도재생술이 적용 불가능한 부위에 적용하여 치주조직 재생을 촉진시켜줄 수 있다. (4) 본 증례에서는 진행된 치주염 환자에서 수술적 치근활택술 뿐만 아니라 플라즈마 치료, EMD연고를 병행하여 치료한 환자에서 수술방법과 그 예후를 살펴보고자 한다.증례6살령의 수컷 치와와로 심한 구취 및 치주염을 주증으로 내원하였다. 우측 하악 송곳니(404)에 중등도 이상의 치석이 침착되어 있었으며, 주변부 치은 부종도 확인되었다. 치아 탐침시 3mm정도로 측정되는 좌측 하악 송곳니(304)에 비해 우측 하악 송곳니(404)는 10mm로 심한 치주염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사진 1.)[사진 1] A. 좌측 하악 송곳니(304) 사진. B. 우측 하악 송곳니(404) 사진.또한 치아 방사선상 정상 치주 인대 공간이 확인되는 304와는 달리 404 근심부 (mesial)에 1/3 정도의 치조골 소실 소견이 확인되었으며, 인접 우측 하악 3번째 앞니(403) 치아의 치주인대도 소실되었음이 확인되었다. (사진 2.)[사진 2] A. 304 치아 방사선 사진. B. 404 치아 방사선 사진.404의 치주고랑 깊이가 6mm가 넘어 수술적 치근 활택술을 진행하기로 하였다. 환자는 등쪽 횡와위(dorsal recumbency) 자세로 누워서 자세 잡았다. 치주 고랑의 시각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periosteal elevater를 이용하여 치은을 박리하였다. 치주염이 진행되어 동요도가 확인되는 우측 하악 앞니(301, 302, 303)을 발치 후 gracey currette를 이용하여 주변 염증 조직 및 치석, 치태를 제거하였다. 수술 부위의 멸균 및 빠른 회복을 위해 플라즈마 치료를 적용하였으며 치주조직 회복을 촉진시키기 위해 EMD 연고를 도포하였다. 증식된 치은 일부를 절제하여 치은연상 치아고랑(supragingival pocket)을 줄였으며 긴장도 없는 봉합(tension-free suture)을 진행하였다. (사진 3.)사진 3. 수술적 치근활택술 수술 과정.A. 술야 확보를 위한 치은 박리. 염증 물질과 치주고랑 깊은 곳에 남아있는 치석 및 치태가 확인된다. B. gracey currette을 이용하여 치근 활택술 이후 건강한 치주조직만 남아있는 사진. 치주염 진행되어 동요도 보이는 하악 앞니도 발치하였다. C. 보다 효과적인 멸균을 위한 플라즈마 치료 진행 D. 치주조직 재생 촉진을 위한 EMD 연고 도포 E. 봉합 진행 후 사진환자는 술 후 0.12% 클로르헥시딘 소독액으로 구강소독을 하루 2회 진행하였으며 일주일간 불린 사료를 급여하며 술부 관리를 진행하였다. 수술 일주일 후 재진 시 치은 발적이 감소하였음이 확인되었으며, 치아 탐침시 치주고랑 깊이가 3mm로 감소되었음이 확인되었다. (사진4.)[사진 4] 수술 일주일 후 치아 탐침 사진고찰치주염은 개와 고양이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치과 질환이다. 치주염은 치아에 부착되는 플라그, 세균 및 독소에 의한 자극과 숙주의 면역 반응에 의해 발생한다. (1) 미국수의치과학회(American Veterinary Dental College, AVDC)에서는 치주염을 체계적으로 진단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5 단계로 구분하고 있다 . (표1) 표 1. 치주염의 5단계 (AVDC)치주염 1단계까지는 스케일링을 통해 치료가 가능하다. 치주염 2단계에서 3단계 까지는 환자의 품고, 치아의 중요도에 따라 추가적인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 하지만 기능적 부착이 50% 이상 소실된 치주염 4단계까지 진행된다면 발치가 지시된다. (1)치근 활택술, 조직유도재생술(GTR))을 통해 치주염의 진행을 예방 및 소실된 치주조직의 재생을 도모해 볼 수 있다. 치근 활택술의 경우 술야 확보 정도에 따라 비수술적 치근활택술(closed root planing)과 수술적 치근활택술(open root planing)으로 나누어진다. 비수술적 치근활택술의 경우 주로 5mm 이하의 치주고랑에서 지시되며 치주고랑을 직접 시각화하지 않고 currette을 이용하여 염증 및 치석을 제거하며 수술적 치근활택술은 해당 과정을 직접 치주고랑을 보면서 진행한다. (1, 5) 본 증례의 경우 치주고랑의 깊이가 10mm로 측정되어 수술적 치근활택술을 진행하였다.조직유도재생술(GTR)은 효과적으로 치주조직을 재생할 수 있는 수술방법으로 치근활택술을 통해 치주조직을 위생적으로 만든 후 흡수성 차폐막을 통해 재생속도가 느린 백악질, 치주인대, 치조골이 충분히 재생될 때까지 치은이 치주고랑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준다. 이 과정에서 백악질, 치주인대, 치조골의 재생을 촉진시켜주기 위해 다양한 이식물을 적용하기도 한다. (6) 다만 수술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선 이식물이 담길 수 있을만한 치주 고랑이 확보되어야 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3-wall defect가 있는 병변에서 진행하게 된다. 본 증례는 404 주변에 1-wall defect로 조직유도재생술을 진행하더라도 그 예후가 좋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에 법랑기단백질을 상품화한 제품(Emdogain, BIORA AB)을 이용하여 치주조직 재생을 촉진하고자 하였다.본 증례에서는 보다 나은 치료 효과를 위해 EMD 연고와 플라즈마 치료를 추가적으로 적용하였다.법랑기단백질은 치주조직의 재생에 관여하는 단백질로 스스로 기질을 형성하고 백악질의 생성을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7) 이러한 법랑기단백질을 상품화한 EMD 연고는 인의 치과의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으며 본 증례에서도 치주조직의 재생 및 기능적 부착 형성을 촉진하기 위해 수술적 치근활택술 이후 치주고랑 부위에 EMD 연고를 적용하였다. 플라즈마 치료는 인의에서 먼저 적용 되었으며, S.mutans와 L. acidophilus균에 작용시 1초 정도의 노출만으로 세균 내 단백질 및 DNA 누출을 일으킬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하지만, 90%정도의 세포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40초 정도의 적용이 필요했으며, 본 증례에서도 보다 효과적인 멸균을 위해 치주고랑 부위에 40초를 적용하였다. (8, 9)결론치주염은 개에서 가장 흔한 치과 질환으로 정도가 경미할 경우에는 단순 스케일링 만으로도 치료가 가능하지만 정도가 심해진다면 추가적인 치료가 지시된다. 진행된 치주염에서도 수술적 치근활택술, EMD 연고 도포 및 플라즈마 치료를 적용하여 좋은 예후를 기대해 볼 수 있다. Reference(1) Brook A. Niemiec: Veterinary Periodontology, 2012(2) Alexander M. Reiter, Margherita Gracis: BSAVA Manual of Canine and Feline Dentirstry and Oral Surgery, ed 4, 2018(3) Raymond E. J. Sladex, et al.: Plasma Treatment of Dental Cavities:A Feasibility Study, IEEE transactions on plasma science, VOL 32, No.4, 1540~1543, 2004(4) Regazzini, Plinio, Novaes Jr., Arthur B, et al.: Comparative study of Enamel Matrix Derivative with or without GTR in the Treatment of Class II Furcation Lesions in Dogs, International Journal of Periodontics & Restorative Dentistry, Vol 24, Issue 5, p476, 2004(5) Jay M. Wylam, Brain L. Mealey, Michael P. Mils, et al.: The Clinical Effectiveness of Open Versus Closed Scaling and Root Planing on Mulit-Rooted Teeth, Journal of Periodontology, Vol 64, Issue 11, p 1023~1028, 1993(6) Frank J M Verstraete, Milinda J Lommer, Boaz Arzi: Oral and Maxilofacial Surgery in Dogs and Cats, ed 2, 2019 (7) Aspriello SD, et al.: Effects of enamel matrix derivative on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expression and microvessel density in gingival tissures of periodontal pocket: a comparative study, J. Periodontol, Apr;82(4):606-12, 2011(8) Yu, Q.S et al.: Non-thermal Atmospheric Plasma Treatment for Deactivation of Oral Bacteria and Improvement of Dental Composite Restoration, Plasma for Bio-Decontamination, Medicine and Food Security, NATO Science for Peace and Security Series A: Chemistry and Biology. Springer, Dordrecht., p 215~228, 2011(9) Raymond E. J. Sladek, Plasma Treatment of Dental Cavities: A Feasibility Study. IEEE TRANSACTIONS ON PLASMA SCIENCE, VOL. 32, NO. 4, AUGUST 2004
24.05.17 -
논문 [학술지]Exploring the Tumor-Associated Risk of Mesenchymal Stem Cell Therapy in Veterinary Medicine
권위있는 국제학술지 Animals journal, Special Issue에 정식 게재된 VIP동물의료센터 성북점 정소영 과장님과 김성수, 아재곤, 서상혁 원장님의 논문 소식을 전합니다.Exploring the Tumor-Associated Risk of Mesenchymal Stem Cell Therapy in Veterinary Medicine주저자 : VIP동물의료센터 성북점 정소영 과장공저자 : VIP동물의료센터 성북점 (왼쪽부터)김성수, 아재곤, 서상혁 원장정소영 과장님이 주저자인 이번 논문은 '줄기세포치료'에 관한 내용입니다.환자 치료에 쓰이는 중배엽 줄기세포(MSC)는 사람들이 우려하는 종양 원성(그 자체가 종양이 되는 특성)을 갖지 않으며, (종양이 현재 없는 환자라면) 안전하게 치료할 수 있는 치료방법이라는 것을 정리한 논문입니다.더 자세한 내용은 첨부 파일을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논문 요약 : 중간엽 줄기세포(MSC) 치료는 다양한 개와 고양이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 수의 재생 의학에서 점차 활발히 적용되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안전한 세포 기반 치료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종양 유발 가능성에 대한 평가도 그만큼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특히 중간엽 줄기세포(MSC)의 종양발생 가능성에 대해 입증된 과학적 근거는 없는 상태입니다. 기존의 연구들과 본 논문에서는 배아줄기세포와 유도만능줄기세포에 비해 중간엽 줄기세포(MSC) 치료가 종양 원성이 더 적은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또한 최근에는 반려동물 환자들을 대상으로한 최적화된 MSC 기반 치료법들이 발전되고 있어, 다양한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 반려동물 고유의 유전적 프로파일에 따라 '개별 동물에게 맞춤화된 치료'를 제공할 수 있는 '반려동물 개체 맞춤형 수의학'으로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중간엽줄기세포(MSC)를 이용한 다양한 치료법들은 향후 수의학 임상 적용에 대한 잠재력이 상당히 높습니다. 특히 중간엽줄기세포(MSC)는 배아줄기세포와 유도만능줄기세포에 비해 종양발생위험이 낮고, 다양한 개와 고양이 질병을 치료하는 데 적합한 줄기세포 공급원으로서 가치 있고 안전한 대안으로 판단됩니다.Exploring the Tumor-Associated Risk of Mesenchymal Stem Cell Therapy in Veterinary Medicine1. VIP Animal Medical Center, 73, Dongsomun-ro, Seongbuk-gu, Seoul 02830, Republic of Korea;jeungs1007@gmail.com (S.J.); ilovekh0@vipah.co.kr (S.K.); sadgon@hanmail.net (J.A.);ssh45035@vipah.co.kr (S.S.)2. Laboratory of Veterinary Internal Medicine, Department of Veterinary Clinical Science, College of Veterinary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Gwanak-ro, Gwanak-gu, Seoul 08826, Republic of Korea3. Regenerative Medicine Laboratory, Center for Stem Cell Research, Department of Biomedical Science andTechnology, Institute of Biomedical Science and Technology, Konkuk University,Seoul 05029, Republic of Korea; umairjan47@konkuk.ac.kr4. Department of Veterinary Obstetrics and Theriogenology, College of Veterinary Medicine, Konkuk University,Seoul 05029, Republic of Korea; hyejinly@konkuk.ac.kr* Correspondence: jeongik@konkuk.ac.kr
24.04.01 -
논문 [학술지][SCIE] Abdominal hernia as a rare manifestation of feline mammary gland carcinoma: a case report
VIP동물의료센터 노원점, 수의사 선생님들의 SCIE급 논문 소식 전해드립니다.Abdominal hernia as a rare manifestation of feline mammary gland carcinoma: a case report공동주저자 : 김효원 과장, 이승준 원장공 동 저 자 : 조서현 원장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이 케이스는 유선종양이 복벽으로 침윤되고 이에 따라 복벽 탈장이 유발된 케이스입니다. 탈장 수술 이후 종양의 췌장 전이가 확인되었고, 흉수와 복수도 확인되었습니다. 환자는 상태가 급격히 악화되어 수술 후 78일 만에 사망하였습니다. 이는 복벽 탈장의 매우 특이한 결과이며 일반적인 탈장 사례와는 매우 다른 예후를 보여줬습니다.이 리포트는 수의학에서 종양에 의해 탈장이 발생된 첫 번째 리포트 입니다. 종양에 의한 복벽탈장은 일반적인 경우와 다르게 예후가 매우 불량하기 때문에 철저한 술전 검사와 외상 이력이 없는 탈장 환자에서는 추가적인 조직 검사가 권장됩니다.Abdominal hernia as a rare manifestation of feline mammary gland carcinoma: a case report1)Department of Veterinary Medical Imaging, College of Veterinary Medicine,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2)VIP Animal Medical Center, Seoul, Korea3)DR.DOG Animal Medical Center, Goyang, Korea
24.03.29 -
논문 [학술지]약물 및 외과적 처치를 통한 고양이 재발성 농흉 치료 증례
약물 및외과적 처치를 통한고양이재발성 농흉 치료 증례VIP동물의료센터이예빈 수의사박종원 수의사김선영 외과 부장김종인 원장장효미 수의사서론농흉은 흉강 내 감염성 삼출물의 축적이 특징적인 질환으로 이물이나 흉벽의 관통상, 식도의 열상, 폐 감염의 확장 때문에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특발성이며, 이는 특히 고양이에서 그렇다.(1) 농흉은 주로 어린 성묘에서 발생하나(평균 3-6세) 어느 연령대에서든 나타날 수 있다. 현재까지의 보고에 따르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성별 및 품종 소인은 확인되지 않았다.(2,3)농흉이 발생한 개체에서는 빈 호흡이나 호흡곤란, 청진 시 폐음의 감소가 관찰되며, 복강의 호흡운동 증가가 나타날 수 있다. 열이나 무기력감, 식욕감소와 체중감소 등도 흔하게 나타나며 패혈성 쇼크를 보이거나 전신 염증반응 증후군(systemic inflammatory response syndrome)을 나타낼 수도 있다.(1) 혈액검사 상에서는 빈혈이나 저알부민혈증, 고글로불린혈증, 전해질 불균형, 미약한 간효소 수치 상승 등이 확인될 수 있다.(2)농흉을 초기에 진단하고 집중적인 치료가 진행된 경우 예후는 좋은 편이다.(1) 2021년 발표된 47마리의 농흉 고양이를 대상으로 진행된 연구에서, 치료가 적절하게 진행되었을 경우 단기생존율(2주)과 장기생존율(1년)이 모두 72%와 68%로 높았으며 재발률은 2%에 불과하였다.(5)본 증례에서는 농흉이 재발한 고양이에서 흉관 장착, 장기간의 흉강 배액 및 세척, 항생제 처치를 통한 치료 성공 증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증례10살 중성화 수컷 아메리칸 컬 고양이가 호흡곤란과 기력저하, 체중감소를 주증으로 본원으로 내원하였다. 전신 컨디션은 저하되어 있었으며, 신체검사상 수축기 혈압이 74mmHg로 측정되었다. 혈액 검사상 빈혈(hematocrit, HCT 22%)과 백혈구증가증(WBC 51.98 K/μL), BUN 상승 (43 mg/dL)이 확인되었으며 (참고: creatinine 0.8 mg/dL), 고단백혈증 및 고글로불린혈증 (total protein: 7.7 g/dL, globulin: 5.3 g/dL, albumin/globulin ratio: 0.4), serum amyloid A (SAA) 상승(24.9 mg/mL)이 확인되었다. 흉부 방사선 검사상에서는 중등도 이상의 흉수 소견이 확인되었다. [그림1][그림1] 첫 내원 당시 흉부방사선 사진흉수로 인한 호흡곤란 완화와 흉수 검사를 위해 천자를 실시했으며, 육안상 노랗고 불투명하며 끈적한 흉수를 100mL 제거하였다. [그림2] 세포 검사상 퇴행성 호중구가 주로 관찰되고 대식구와 림프구가 소수 확인되었으며 세포질 및 세포 외부에서 간균과 구균, 단간균이 현저히 관찰되었다. [그림3][그림2] 채취한 흉수[그림3] 흉수의 세포 검사 사진채취한 흉수를 통해 미생물 배양 및 항생제 감수성 검사를 의뢰하였고, 그람음성 혐기성 간균인 Fusobacterium russii 이 동정되었다. 흉수를 유발할 수 있는 고양이 전염성 복막염 (Feline Infectious Peritonitis, FIP)을 배제하기 위한 PCR 검사에서 음성으로 확인되어 FIP는 배제되었다.환자는 항생제 감수성 결과가 나오기 전까지 입원 및 경험적 항생제 투여를 통해 치료를 진행했다. 혐기성 균에 잘 작용하는 amoxicillin-clavulanate (AMC) (12.5 mg/kg IV q12h), metronidazole (10 mg/kg IV q12h)과 그람 음성균에 잘 작용하는 fluoroquinolone 계열의 marbofloxacin (2.75 mg/kg IV q24h)을 병용하였다. 입원 치료 8일 후 농흉과 SAA, 전반적인 CBC 수치가 개선되어 퇴원하였고, 이는 퇴원 시 방사선 사진이다. [그림4][그림4] 8일간의 입원치료 후 퇴원 시 방사선 사진항생제 감수성 검사 결과에 따라 경구용 항생제(AMC 12.5mg/kg q12h, marbofloxacin 2mg/kg q24h)를 처방하였고 2주 뒤 농성 흉수가 사라지고 항생제 부작용으로 의심되는 위장관 증상이 나타나 항생제 투약을 중단하였다. 환자는 퇴원 후 2달 뒤 농흉 재발로 인한 호흡곤란 및 기력저하로 다시 내원하였다. 혈액 검사상 빈혈(HCT 22.9%)과 백혈구증가증 (WBC 29.44 K/μL), SAA 상승(17.3 mg/mL)이 확인되었다. 흉부방사선 상 우측 후폐엽의 음영 증가와 함께 뒤쪽 종격동의 연부조직 음영이 확인되어 computed tomography (CT) 검사를 진행하였다.[그림5] CT 검사를 토대로, 방사선상 확인되었던 연부조직 음영의 구조물은 caudal mediastinal paraesophageal empyema로 가진단 되어 입원하여 항생제 반응성과 염증 수치 및 전반적인 활력 등을 모니터링하였다. [그림5] 농흉 재발 시 흉부 방사선 사진일차적으로 첫 발증시와 동일한 항생제를 동일 용량으로 사용하였다. (Amoxicillin-clavulanate (12.5mg/kg IV q12h), metronidazole (10mg/kg IV q12h), marbofloxacin (2.75mg/kg IV q24h)) 첫 발증 시에는 항생제 처치에 빠르게 반응하여 흉수 양과 염증수치의 뚜렷한 개선이 있었으나, 재발 후에는 동일한 항생제 처치에도 불구하고 흉부 방사선 상 흉수가 점점 증가 하였고 혈액 검사상에서도 큰 호전을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metronidazole을 중단하고, meropenem (10 mg/kg IV q8h) 처치를 추가하였다. 그럼에도 치료 반응을 보이지 않고 식욕 및 활력의 악화 소견을 보여 재발 12일 경과 후 외과적 처치를 실시하였다. [그림6] 탐색적 개흉술, 흉관 장착 / 술후 흉부 방사선개흉을 통한 육안 평가 시, 우측 흉강 전반에서 섬유소성 흉막염과 횡격막의 비후 및 염증성 변화가 확인되었다. 우측 폐 대부분이 어둡게 변색되어 조직의 병리적 변화가 진행되어 있었고 일부만 정상 폐조직으로 확인되었다. 우측 폐중엽과 후엽이 서로 유착되어 횡격막에 부착되어 있어 수술적으로 염증 조직을 제거하고 유착되어 있는 부분을 분리하였다. 이후 흉관을 장착하여 장기적으로 양측 흉강에서 공기와 삼출물 제거를 계획하였다. [그림7] 치료 기간 동안 흉부 방사선 변화 양상흉관 장착 후 흉강 세척은 양측 흉관에서 최대한의 흉수를 제거한 후 따뜻한 heparinized H/S 20 mL, H/S 20 mL씩을 주입 후 제거하는 방식으로 매일 두 번씩 진행했다. 이와 함께 장기간의 항생제 치료를 병행하였다. 방사선 검사 결과에서는 소량의 흉수가 지속되었으나 흉수 검사에서는 더이상 감염체가 확인되지 않았다. 하지만 염증세포와 염증성 삼출물이 지속적으로 확인되어 잔존한 염증에 의해 흉수가 지속적으로 유발되고 있을 것으로 추측되어 소염제를 추가 처방하고 흉수가 감소되는지 모니터링하였다. 환자는 퇴원 후 prednisolone, PDS 0.5 mg/kg PO q12h, omeprazole 0.5 mg/kg PO q12h, pentoxifylline 10 mg/kg PO q12h, meropenem 8.5 mg/kg SC q12h 처치를 진행하며 상태를 모니터링하였다. 이후 흉수의 양이 현저히 줄어들고 세포학적 검사 결과 변성 호중구와 세균이 더이상 확인되지 않아 흉관 장착 43일째에 양측 흉관을 모두 제거하였다. 이후 60일동안 내복약을 서서히 감량하며 다음과 같이 약물 처방을 실시하였다. (최종 용법 : PDS 0.2 mg/kg PO EOD, omeprazole 0.5 mg/kg PO EOD, pentoxifylline 10 mg/kg PO EOD).[그림8] 치료 기간 동안 주요 이벤트를 나타낸 타임라인고찰고양이 농흉의 치료에서는 약물과 외과적 처치를 모두 선택할 수 있지만, 최적의 치료법이 어떤 것인지에 대한 의견은 현재까지도 다양하며 이들의 효능을 평가하고 비교하는 연구가 부족하고 농흉 환자의 증례수도 많지 않아 의미 있는 결론 도출이 어려운 실정이다. 하지만, 많은 문헌에서 농흉 관리 시 가장 먼저 고려해야할 것은 약물 치료라는 의견이 대부분이다. 최근 농흉 고양이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85%(n=47마리)가 약물 치료를 통해 농흉이 개선되었고, 단 5마리의 고양이만이 약물 치료에 반응하지 않아 수술적 처치가 고려되었다.(2,3,5,6)흉강천자를 통해 채취한 흉수의 미생물 배양과 항생제 감수성 결과가 나오기 전까지 일반적으로 광범위 항생제가 선택되며, Actinomyces spp.에 대해서도 효능이 있는 amoxicillin-clavulanic acid가 우선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그리고 그람 음성균에 효과적인 fluoroquinolone 계열의 항생제 역시 선택될 수 있다. 이후 항생제 감수성 검사 결과에 따라 감수성 있는 항생제로 변경되어야 하며 임상 증상이 나타나지 않을 때까지 최소 3-4주 동안 치료가 필요하다.(2,6,7)2~7일 후에도 약물 치료에 대한 반응이 부적절할 경우, 즉 임상적으로 호전을 보이지 않고 지속적인 발열이나 흉수 증가 양상이 확인되는 경우 외과적 처치를 고려해야 한다.(2,3,5,6) 이러한 개체에서는 탐색적 개흉술이 지시되며 섬유화된 조직이나 염증에 이환된 조직을 제거하기 위한 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1)개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흉관을 통해 배액만 단독으로 실시했을 때보다 배액과 세척을 함께 했을 때의 이점이 보고되었다. 흉강 내 어떤 액체도 없도록 최대한 흉수를 제거한 후 흉강 내로 따뜻한 멸균 생리식염수를 약 10 mL/kg로 천천히 주입한다. 처치 중 환자에게 스트레스가 가해질 경우 언제라도 시도를 중단해야 한다. 동물을 조심스럽게 양쪽으로 굴린 후 주입된 액체를 다시 제거하며 이러한 과정들은 철저하게 무균적으로 행해져야 한다. 주입한 양의 75% 이상은 제거되어야 하는데 이것보다 더 적은 양만 회수된다면 더 이상 흉관을 통해 적절한 배액이 되고 있지 않음을 의미하며, 흉수 및 흉관의 상태를 방사선이나 초음파로 평가해야 한다. 세척액에 항생제나 항균제, 효소를 첨가하는 것이 더 이점을 가진다는 것은 알려지지 않았다. 하지만 헤파린(1000-1500 U/100 mL)을 세척액에 첨가하는 것은 섬유소 형성을 감소시켜, 더 좋은 결과를 보였다.(1,8) 배액을 멈추고 흉관을 제거할 것인지에 대한 결정은 배액된 흉수의 양과 세포학적 검사를 바탕으로 해야한다. 배액양이 2 mL/kg/day 이하로 감소되는 경우 배액관 제거를 고려할 수 있다. 세포학적 평가 시 세포 내/외에서 세균이 더 이상 관찰되지 않아야 하며, 호중구는 지속적으로 나올 수 있지만 변성되지 않아야 한다. 이러한 요건을 모두 만족시키거나 흉부 방사선 상에서 더 이상 흉수가 발견되지 않을 시 흉관을 제거할 수 있으며, 흉관 제거 후 최소 24시간까지는 기흉이나 흉수의 재발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1)[결론]본 증례는 농흉의 재발과 이에 따른 약물 및 외과적 처치를 실시한 고양이 환자를 소개한 것으로, 농흉이 처음 발생했을 때는 약물에 대한 반응이 좋아 단기간의 항생제 처치로 임상증상이 현저히 완화되었다. 하지만 2달 후 재발한 농흉에서는 약물 치료에 대한 반응성이 떨어져 탐색적 개흉술 및 흉관 장착을 통한 외과적 개입을 병행하였다. 이후 흉관을 약 40일간 유지하며 흉강 배약과 세척, 항생제 처치를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좋은 예후를 보였다. 탐색적 개흉술과 흉관을 통한 배액 및 세척을 병행하는 치료방법은 내과적 처치로 개선되지 않는 고양이 농흉에서 추천할만한 치료법으로 고려될 수 있다. References(1) Nelson, Richard W., and C. Guillermo Couto. Small Animal Internal Medicine: Small Animal Internal Medicine. Elsevier Health Sciences, 2019.(2) Stillion JR, Letendre J. A clinical review of the pathophysiology, diagnosis, and treatment of pyothorax in dogs and cats. J. Vet. Emerg. Crit. Care (San Antonio) 2015;25(1):113-129.(3) Waddell LS, Brady CA, Drobatz KJ. Risk factors, prognostic indicators, and outcome of pyothorax in cats: 80 cases (1986-1999). J. Am. Vet. Med. Assoc. 2002;221(6):819-824.(4) Ettinger, Feldman, Cote. Textbook of Veterinary Internal Medicine.8th ed(5) Krämer F, Rainer J, Bali MS. Short‐ and long‐term outcome in cats diagnosed with pyothorax: 47 cases (2009‐2018). J. Small Anim. Pract. 2021;62(8):669-676.(6) Epstein SE, Balsa IM. Canine and feline exudative pleural diseases. Vet. Clin. North Am. Small Anim. Pract. 2020;50(2):467-487.(7) Lappin MR, Blondeau J, Boothe D, et al. Antimicrobial Use Guidelines for Treatment of Respiratory Tract Disease in Dogs and Cats: Antimicrobial Guidelines Working Group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Companion Animal Infectious Diseases. J. Vet. Int. Med. 2017;31(2):279-294.(8) Boothe HW, Howe LM, Boothe DM, et al. Evaluation of outcomes in dogs treated for pyothorax: 46 cases (1983-2001). J. Am. Vet. Med. Assoc. 2010;236(6):657-663.
24.03.12 -
논문 [학술지][SCI] Successful interventional occlusion of muscular ventricular septal defect
Canadian Vet journal 게재된 VIP동물의료센터 청담점 박지영 팀장님의 SCI급 논문 소식 전해드립니다.Successful interventional occlusion of muscular ventricular septal defectJiyoung Park, Sunyoung Kim, Ji-Heui Sohn, Jong-in Kim, Changbaig Hyun더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통해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VSD(ventricular septal defect) 환자에서 중재술로 ACDO수술 진행한 증례]본 논문은 개에서 드문 선천성 심장질환 VSD(ventricular septal defect)에 대한 성공적인 중재적 수술 ACDO 적용한 사례에 대해 설명합니다.심실중격결손 환자에서 폐쇄술이 지시되는 경우도 적지만 적절한 디바이스의 선택과 비용, 그리고 시술자의 역량 등을 종합했을 때 실제 시술로 이어지는 것은 매우 드문 경우입니다. 그러나 본 논문은 근성 심실중격결손 환자에서 카테터 기반 폐쇄 중재술이 개에서 실현 가능한 치료적 선택지가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Successful interventional occlusion of muscular ventricular septal defectJiyoung Park, Sunyoung Kim, Ji-Heui Sohn, Jong-in Kim, Changbaig Hyun
24.03.05 -
논문 [학술지]Radiographic and computed tomographic characteristics of intraluminal tracheal adenoma in a cat
TOP Class 영상의학저널 VRU에 최종 게재된 [VIP동물의료센터 성북점 안유진 팀장님(영상의학과)] 소식을 전해드립니다. :)Radiographic and computed tomographic characteristics of intraluminal tracheal adenoma in a cat(공동주저자:이연희)자세한 내용은 아래 사이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요약]13세의 중성화 암컷 페르시아 고양이가 호흡곤란과 콧물을 주증으로 VIP동물의료센터 성북점에 내원을 했습니다. 원인 감별을 위한 검사들을 진행하였고, 흉부 방사선 사진 상 기관분지부에 돔 모양의 비정상적인 형태가 관찰됐습니다. 보호자 상담 후 CT 촬영을 진행한 결과, 기관분기부와 좌우 근위 주기관지에서 종괴가 확인되었으며, 이 종괴는 특이하게도 기관벽에서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었습니다. 확진을 위해 기관내시경과 조직검사를 진행하였고, 해당 위치에서 여러 개의 엽이 있는 형태의 종괴가 넓게 자라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조직병리검사 결과 이는 선상피 계통의 양성 신생물(선종, adenoma)로 최종 진단되었습니다.[임상적 의의]호흡기 증상을 나타내는 반려동물들에서 그 원인은 매우 다양합니다. 특히 노령 동물들에서는 종양 가능성을 늘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기관유래의 종양은 드문 편이며, 그 중 양성종양으로 진단된 경우는 극히 드물다고 할 수 있습니다. 향후 기관 유래 종괴의 감별진단에는 기관선종도 반드시 포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됩니다.Radiographic and computed tomographic characteristics of intraluminal tracheal adenoma in a catYoojin An¹, Yeonhee Lee¹, Sungsoo Kim¹, Kichang Lee², Hakyoung Yoon²′³¹ VIP Animal Medical Center, Dongsomun-ro, Seongbuk-gu, Seoul, Republic of Korea² Department of Veterinary Medical Imaging, College of Veterinary Medicine, Jeonbuk National University, Iksan, Republic of Korea³ Biosafety Research Institute and College of Veterinary Medicine, Jeonbuk National University, Iksan, Republic of Korea
24.03.05